Atom에서 Git 연동하기 에러 해결
팀 프로젝트를 하게 되어 팀원과 소스 공유의 목적으로 Atom 에디터와 Git을 연결하여
각자 만드는 소스를 하나의 Git hub 계정 레포지토리에 올리기로 함.
<Atom에서 Git연동하는 순서>
- Git 설치, 회원가입, 로그인
- Atom설치 후 git-plus라는 플러그인 다운. Atom 상단의 Setting-package에 가서 검색 후 install.
- Cmd창에서 cd로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들어간 뒤, github계정을 연결함.
git config user.name 우리아이디
git config user.email 자기꺼 계정 이메일
git remote add origin 자기 계정 레포지토리의 HTTPS 주소 링크
- Atom에서 상단바에서 GIThub toolbar를 클릭하면 오른쪽에 공간이 생김.
- test.vue파일을 만들고 저장하면 툴바 맨 위(unstaged)에 파일이 등록됨. 클릭하면 바로 밑의 stage로 이동함.
- 맨 아래에 publish를 누르면 우리 계정 레포지토리에 소스파일이 올라감.
—————————————————————
<여기까지 하면서 생겼던 에러>
에러1. Cmd로 add-commit-push 순서로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씀.
git add test.vue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아톰의 과정처럼 파일이 생성되고, 변경되고, 올라가(등록되는)는 과정인데 마지막에 레포지토리에 등록하는 명령어에서
fatal : protocol ‘https’ is not supported
에러가 나왔다.
열심히 구글링을 했는데 처음으로 해본 해결책은
lilcurl.dll 이라는 파일에서 https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그 파일을 삭제하거나, 다시 깔아주거나 두가지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내 컴퓨터에 그 파일이 없었고 인터넷에서 찾아서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오류가 났다.
하지만 허무하게도 저 오류의 원인은
처음에 cmd에서 git계정 연결할때
git remote 자기 계정 레포지토리의 HTTPS 주소 링크
이부분을git remote ‘자기 계정 레포지토리의 HTTPS 주소 링크’
이렇게 썼기 때문에 발생한 에러였다.
저걸 수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git remote rm origin
연결된 레포지토를 지우고 다시
git remote 자기 계정 레포지토리의 HTTPS 주소 링크
이 명령어로 써주면 된다.
에러2. 첫번째 에러는 해결했는데 두번째는 소스파일이 레포지토리에 업로드되지 않는 문제였다.
에러1과 같은 상황이었지만 오류 메시지가 달랐다.
remote : Permission to 우리 깃 계정 denied to new memberance.
fatal : unable to access 우리 깃 계정 :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 403
이 떴는데
원인은 내가 쓴 컴퓨터가 남이 쓰던 걸 받은거고 포맷이 안되어있어서 그 사람이 github계정과 연결했던 기록이 남아서 발생한 것이었다.
해결책은 사용자계정에 들어가서 남이 쓰던 git계정정보를 삭제하고 내 깃헙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재등록해주는 것이었다.